4. IT이야기

게임이 끊기고 흐릿한 이유 : 모니터 주사율(Hz)과 FPS의 차이

쿼드큐브 2025. 9. 4. 11:27
728x90
반응형

게임이 끊기고 흐릿한 이유 : 모니터 주사율(Hz)과 FPS의 차이

게이밍 환경에서 최고의 몰입감과 성능을 경험하려면, 단순히 좋은 그래픽카드나 고성능 모니터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바로 '주사율(Refresh Rate)'과 'FPS(Frames Per Second)'라는 두 가지 핵심 요소의 관계를 이해하고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두 가지가 게임 플레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1. 주사율(Hz)이란 무엇인가?

주사율(재생빈도)이란 모니터가 1초에 화면을 몇 번 새로 그리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단위는 *Hz(헤르츠)*입니다.
이는 모니터가 화면 내용을 얼마나 자주 '갱신'하는지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60Hz 모니터는 1초에 화면을 60번 새로 그립니다.
🔸144Hz 모니터는 1초에 144번 화면을 갱신합니다.

 

즉, 주사율이 높을수록 움직이는 화면이 더 부드럽게 보이고,
특히 *빠른 움직임(예: FPS 게임, 레이싱 게임)*에서 그 차이가 확연히 드러납니다.

출처:https://m.cafe.daum.net/dotax/Elgq/4376956?svc=topRank

새로 고침 빈도가 높을수록 디스플레이 효과가 더 안정적입니다. 따라서 일부 e스포츠 전용 모니터의 새로 고침 빈도가 240Hz로 증가하여 게임 중 번짐 및 프레임 건너뛰기와 같은 문제를 더 잘 해결할 수 있습니다.

 

2. FPS(Frame Per Second)란 무엇인가?

FPS(Frames Per Second)는 그래픽카드(GPU)가 1초 동안 몇 장의 프레임(화면)을 만들어내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며, 단위는 '프레임/초'입니다. 즉, FPS가 높다는 것은 GPU가 게임에서 더 많은 장면을 생성하여 모니터로 전송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더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FPS 수치별 체감 예시:

🔸30 FPS: 눈에 띄게 끊기며, 빠른 화면 전환 시 잔상 발생
🔸60 FPS: 대부분의 사람에게 부드럽게 느껴짐
🔸120 FPS 이상: 고주사율 모니터에서 큰 차이 체감
🔸240 FPS: 반응 속도와 조작감이 중요한 e스포츠용

위 그림에서 60 FPS는 24(or 30) FPS보다 더 자주 전환되므로 표시되는 그림 효과가 더 부드럽습니다.

 

3. 주사율과 FPS의 차이와 관계 : 게임 체감 품질에 영향을 주는 현상

주사율은 모니터의 화면 갱신 능력이고, FPS는 그래픽카드의 프레임 생성 능력입니다. 이 두 수치가 완벽하게 일치할 때 최상의 게이밍 경험을 제공하지만, 불일치할 경우 다양한 시각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Ghosting(고스팅) : 모니터 응답속도 느림

🔸예시: 모니터의 주사율은 144Hz이지만, 응답속도가 느린 VA 패널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문제: 모니터의 픽셀이 새로운 색상으로 바뀌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면, 이전 프레임의 잔상이 다음 프레임 위에 남게 됩니다.
🔸결과: 빠르게 움직이는 캐릭터나 물체 뒤에 유령처럼 잔상이 따라다니는 현상이 발생하며, 화면이 흐릿하거나 겹쳐 보여 가독성과 시인성이 떨어집니다. 특히 FPS 게임이나 리듬 게임처럼 빠른 반응이 중요한 장르에서는 큰 단점이 됩니다.

출처: https://pcd.com.sa/en/blog/boosting-fps-in-pc-shooter-games-a-guide-for-saudi-gamers

 

2. Tearing(티어링) : FPS > 주사율

🔸예시: 그래픽카드가 200FPS를 출력하지만, 60Hz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문제: 모니터는 1초에 60장밖에 화면을 보여주지 못하므로, 그래픽카드가 생성한 나머지 140장의 프레임은 무시됩니다.
🔸결과: 이로 인해 화면이 찢어지는 듯한 시각적 오류인 '스크린 티어링(Screen Tearing)'이 발생합니다. 게임의 부드러움은 유지될 수 있지만, 시각적으로 매우 불쾌하며 몰입감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pcd.com.sa/en/blog/boosting-fps-in-pc-shooter-games-a-guide-for-saudi-gamers

3. Stuttering(스터터링) : 주사율 > FPS

🔸예시: 그래픽카드가 40FPS를 출력하지만, 144Hz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문제: 모니터는 빠르게 화면을 갱신할 준비가 되어 있지만, 그래픽카드로부터 받는 프레임의 수가 부족합니다.
🔸결과: 모니터는 같은 장면을 여러 번 반복해서 보여줘야 하므로 화면이 버벅거리거나 끊기는 느낌, 즉 '스터터링(Stuttering)'이 발생합니다. 이는 게임의 부드러움을 크게 해치고 조작감을 떨어뜨립니다.

 

출처: https://pcd.com.sa/en/blog/boosting-fps-in-pc-shooter-games-a-guide-for-saudi-gamers

 

4. FPS와 주사율이 게임에 미치는 영향

게임을 하다 보면 “왜 어떤 화면은 부드럽고, 어떤 화면은 끊기는 것처럼 느껴질까?” 하는 의문이 생기곤 합니다.
그 핵심에는 바로 FPS(초당 프레임 수)와 모니터 주사율(Hz)이 있습니다.

이 두 요소는 화면의 부드러움, 조작 반응 속도, 조준 정확도 등 실제 게임 플레이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 반응 속도 향상

주사율이 높아지면, 입력 지연(Input Lag)이 줄어듭니다.
즉, 우리가 마우스를 움직이거나 키보드를 눌렀을 때, 화면이 훨씬 빠르게 반응하게 되는 거죠.


예를 들어,
🔸60Hz 모니터는 1초에 화면을 60번만 갱신하지만,
🔸144Hz 모니터는 1초에 144번이나 갱신합니다.


그만큼 조작과 화면 반응이 실시간처럼 연결되어 정확한 타이밍의 플레이가 가능해집니다.

 

✔️ 인지력 향상

FPS가 높다는 것은 더 많은 화면 정보를 1초에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로 인해 게임 속 상황을 더 빨리 파악하고, 위협이나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FPS 게임이나 배틀로얄 장르처럼 반응 속도가 중요한 게임에서는,
적이 나타나는 순간을 더 빨리 보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 큰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조준 정확도 향상

FPS가 낮을 때는 마우스를 움직일 때 조준선이 끊기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프레임 수가 많아질수록 마우스 움직임이 더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반영됩니다.


이 덕분에,
🔸조준선이 튀거나 밀리는 현상이 줄어들고
🔸정밀한 조준과 사격이 훨씬 쉬워집니다.

 

5. FPS와 주사율 최적 세팅 가이드

앞서 말한 것처럼, FPS와 주사율은 게임 체감에 큰 영향을 줍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둘을 잘 맞춰서 게임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을까요?

아래는 가장 실용적인 세팅 가이드입니다.

 

✅ FPS는 얼마나 확보해야 할까?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니터의 주사율과 FPS를 일치시키는 것이 가장 좋다!

예를 들어,
🔸60Hz 모니터를 사용하면 60 FPS 이상
🔸144Hz 모니터를 사용하면 144 FPS 이상을 확보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만약 현재 컴퓨터 성능으로 144 FPS가 안정적으로 나오지 않는다면,
그래픽 옵션을 ‘중간’이나 ‘낮음’으로 조절해서 FPS를 유지하는 것이 훨씬 좋은 선택입니다.
고화질보다 부드럽고 끊기지 않는 화면이 더 큰 체감 차이를 만들어줍니다.

 

✅ V-Sync (수직 동기화)

V-Sync는 그래픽카드에서 나오는 FPS를 모니터 주사율에 맞춰 제한하는 기능입니다.

 

🔸장점: 화면이 찢어져 보이는 현상(Tearing)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단점: 반응 속도가 약간 느려지고, FPS가 급격히 떨어질 때 화면이 뚝뚝 끊기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캐주얼 게임이나 화면 찢김이 거슬릴 때는 V-Sync가 유용합니다.

 

✅ G-Sync / FreeSync (가변 주사율 동기화)

그래픽카드에서 출력하는 FPS에 맞춰 모니터 주사율을 실시간으로 조정하는 기술입니다.

🔸 장점: 티어링도 없고, 끊김도 없으며, 반응 속도도 빠릅니다.
🔸 단점: 해당 기술을 지원하는 모니터와 그래픽카드 조합이 필요합니다.

 


"본 글은 과거 cericube-it(티스토리)에서 발행했던 콘텐츠를 기반으로, 새롭게 정리한 업데이트 버전입니다."

728x90
반응형